https://www.acmicpc.net/problem/2805 2805번: 나무 자르기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1 ≤ M ≤ 2,000,000,000)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 www.acmicpc.net 백준 소스코드 [C++] 2805 나무자르기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define all(v) v.begin(), v.end(..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Jbue3/btq8F5UObLz/1ifTCf2TURqKZ8XqdqsWW0/img.png)
String str.resize(n,'x') -> str이 n보다 짧으면 n개 남기고 쳐냄 -> str이 n보다 크면 str뒤에 x로 초기화 str.c_str() -> str를 str+'\0'로 바꿔줌 str.substr(n,m) -> str의 n번째 인덱스부터 m개의 문자를 추려냄 -> m이 없으면 n번째부터 끝까지 str1.compare(str2) -> str1, str2를 비교해서 사전순으로 str1이 빠르면 -1 같으면 0 느리면 1 str1.find(str2) str1.push_back('x') -> str1 = str1 + 'x' str1.pop_back() -> str1 마지막 문자 제거 reverse(str.begin(), str.end()) -> 반환값없음 str이 뒤집어짐 str1.re..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6bkHQ/btq8AQWOXu4/G1SPzMK08k4RVdKHH7SHMk/img.png)
안녕하세요 Hani입니다. 이번엔 Observable의 event중 조건에 맞는 것만 뽑아오는 operator를 알아보겠습니다. 시작 😊 Debounce 특정 시간(x)동안 아무런 item이 추가로 들어오지 않으면, 가장 마지막으로 들어온 item를 방출하는 Debounce입니다. 예를 들면, 버튼을 광클하고 특정 시간이 지나면 마지막 클릭 이벤트만 받아들이게 됩니다. DistinctUntilChanged 기본적으로는 연속적으로 같은 item을 방출하지 않도록 item이 distinct한 Observable을 만들어주는 distinct입니다. item이 distinct하다는 기준을 위와 같이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ElementAt n번째 item만 방출하는 ElementAt입니다. Filter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70WP/btq8jJEkygL/DAz9cLB1To2mklzLw5QQFK/img.png)
안녕하세요 Hani입니다. RxSwift의 Observable과 subscribe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이번엔 Operator에 대하여 알아볼 거예요. 🔥 operator는 Observable에 적용시키는 method입니다. operator가 Observable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는 Marble Diagram이라는 그림에 잘 나와있어요. Marble Diagram 화살표 모양의 꼬챙이가 Observable이고 끼워져 있는 각 Marble은 Observable이 방출하는 event입니다. 화살표 끝부분이 일자로 막혀있는 부분은 Observable이 끝났다는 의미이고, 사각 박스는 operator이며, operator의 결과물은 Observable입니다. Observable에 operator를 적용시킨 것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2qhyW/btq8cNTmhsv/ly4kYSJKPelI62kQraukCK/img.png)
안녕하세요 Hani입니다. 비동기 처리를 위한 RxSwift에 대한 공부를 시작해보겠습니다. 😎 먼저, 앞으로 볼 화면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보겠습니다. 위 화면은 아래와 같이 동기적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위 코드에 따르면 모든 작업이 Main Queue에서만 실행되는데, JSON 정보를 가져오는 작업이 실행되고 완료되기까지 타이머를 비롯한 모든 UI 요소들이 멈추게 됩니다. 따라서 화면이 멈추는 것을 막기 위해 JSON 정보를 가져오는 작업을 Global Queue에서 비동기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동기 처리와 스레드 분리를 위해 DispatchQueue를 이용하여 작업을 Main Queue와 Global Queue로 분리해보겠습니다. JSON 정보를 가져오는 부분을 Global Queue..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Jyy9n/btq7ZeKQqDD/lKPs4sJTAO1izo7KW6IQ0k/img.png)
안녕하세요 Hani입니다. 시험 보느라 포스팅을 많이 못했네요. WWDC21에서 발표된 Human Interface Guidelines 중에서 Right to Left(RTL)를 다뤄볼까 합니다. Right to Left 앱스토어는 40여개의 언어로 서비스되기 때문에 전 세계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가들마다 사용하는 화폐, 시간, 단위 등이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여러 나라에 서비스를 하기위해 애플리케이션을 현지화(Localization)하는 것은 앱이 성장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그중 특이하게 몇몇 국가들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글을 씁니다. 🧐 이런 언어를 지원할 때에는 글자만 좌우로 뒤집을 뿐 아니라 UI도 뒤집어서 읽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해야겠죠? 아래 그림처럼 😎 글자만 오른쪽으로 붙은게..
- Total
- Today
- Yesterday
- HIG
- 다익스트라 시간복잡도
- 벨만포드 시간복잡도
- 네트워크 유량
- 네트워크 플로우
- 최대 매칭
- MeTal
- WWDC19
- WWDC21
- 최단경로 알고리즘
- test coverage
- 코딩대회
- observeOn
- 에드몬드 카프 알고리즘
- CompositionalLayout
- 최단경로 문제
- 벨만포드 알고리즘
- WWDC17
- rxswift
- mach-o
- Testable
- 부스트캠프 6기
- 강한 순환 참조
- IOS
- 컴퓨터 추상화
- WWDC16
- State Restoration
- 최단경로문제
- CPU와 Memory
- 포드 풀커슨 알고리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