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VYYXM/btqIdT5Ih7Q/ykBWAapN8DebgU7n2kkvZK/img.png)
게임, 엑셀 등을 응용 소프트웨어 CPU, 마우스 등의 컴퓨터 부품들을 하드웨어 OS, 컴파일러 등을 시스템 소프트웨어 라고 한다면 이들은 아래와 같은 계층적 구조를 갖게됩니다. 우리는 CPU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OS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잘 몰라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하위 계층의 세부적인 것들이 상위 계층에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 추상화입니다. 여기서 최하위 계층인 하드웨어는 0, 1 로만 이루어진 명령어만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고수준 언어로 쓰인 프로그램입니다. 이런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에서 실행되기 위해서 고수준의 언어는 저수준 기계어로 번역이 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 번역을 비롯한 중간 단계 역할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들을 따로 시스템 소..
컴퓨터구조
2020. 9. 8. 01:2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CPU와 Memory
- MeTal
- 벨만포드 시간복잡도
- mach-o
- HIG
- 다익스트라 시간복잡도
- 포드 풀커슨 알고리즘
- 코딩대회
- test coverage
- State Restoration
- WWDC19
- 에드몬드 카프 알고리즘
- Testable
- 최단경로 문제
- WWDC21
- observeOn
- 최단경로문제
- CompositionalLayout
- WWDC17
- 네트워크 플로우
- 강한 순환 참조
- rxswift
- 부스트캠프 6기
- 벨만포드 알고리즘
- 최단경로 알고리즘
- 네트워크 유량
- 최대 매칭
- IOS
- 컴퓨터 추상화
- WWDC16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